[boot] STS를 이용한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시작
1. 시험환경
- 윈도우 10
- STS
- Spring Boot
2. 목적
- 스트링부트 프로젝트를 위한 Github Repository를 생성한다.
-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실행한다.
3. 적용
① SpringBootTemplate이라는 Github Repository를 생성하였다.
② 생성한 Github Repository를 로컬디스크로 복제(clone) 한다.
- 복제 대상 폴더를 프로젝트 폴더로 지정하였다.
③ STS를 실행하고 신규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 Create new Spring Starter Project
④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속성을 설정한다.
⑤ 의존성 라이브러리를 설정한다.
- 여기에선 Spring Web 라이브러리만 선택하였다.
- 추후, 자유롭게 추가 또는 제거할 수 있다.
⑥ 생성된 신규 프로젝트의 구조이다.
⑦ 스프링 프로젝트를 실행해보자.
- 프로젝트명에서 우클릭 → Run As → Spring Boot App
⑧ 생성한 프로젝트를 git hub에 업데이트 하자
- git add * : 생성한 파일을 로컬 저장소에 추가한다.
- git status : 로컬 저장소의 상태를 확인한다.
⑨ 로컬 저장소 및 원격 저장소를 업데이트한다. (commit and push)
4. 결과
① SpringMVC 프로젝트와 다르게 View 부분을 별도로 구성해야 한다.
- localhost:8080
② git hub repository에 업데이트된 파일을 확인한다.
※ 내용이 도움 되셨다면 광고 클릭 한번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