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험환경
˙ SpringBoot
˙ Gradlew
2. 목적
˙ 스프링 프로젝트를 war 빌드한다.
- 참고: https://languagestory.tistory.com/155
JAR(Java Archive)와 WAR(Web Application Archive) 차이점
1. 시험환경 ˙ SpringBoot ˙ Gradle 2. 목적 ˙ Spring Project 빌드시 JAR 또는 WAR Build의 차이점에 대하여 알아보자. 3. 적용 ① JAR(Java Archive) - 여러개의 자바 클래스 파일과, 클래스들이 이용하는 관련 리소
languagestory.tistory.com
˙ 빌드 파일명 변경을 위한 설정을 한다.
3. 적용
① 완성된 프로젝트를 배포하기 위해서 빌드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 데모 프로젝트 : https://languagestory.tistory.com/229
spring initializr를 이용한 springboot 프로젝트 생성
1. 시험환경 ˙ Window ˙ Spring Initializr ˙ Gradle ˙ IntelliJ Community 2. 목적 ˙ Spring Initializer를 이용하여 Spring Boot 프로젝트 패키지를 구성한다. ˙ Spring Initializer를 이용하여 구성된 패키지를 IntelliJ에 임
languagestory.tistory.com
② war 배포를 위해 build.gradle 파일을 설정한다.
- plugins : id 'war' 추가
- bootWar : 파일명 설정 (선택)
③ 프로젝트 root에서 gradle wrapper를 이용하여 프로젝트 빌드한다.
- 윈도우 : > gradlew build
- Linux, iOS : $./gradlew build
4. 결과
˙ build/libs 폴더에 빌드된 프로젝트 파일을 확인한다.
˙ war 파일은 web 패키지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하므로 Tomcat 또는 Nginx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 참고 : jar 파일은 java -jar [app.jar] 명령어를 통해 단독으로 실행할 수 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js와 SpringBoot를 이용한 로그인 구현 종류 및 방법론 (0) | 2024.01.25 |
---|---|
SpringBoot와 Redis 연동 설정 및 CRUD 테스트 (0) | 2024.01.10 |
spring project(스프링 프로젝트) gradle(그래들) jar 빌드 (0) | 2024.01.06 |
JAR(Java Archive)와 WAR(Web Application Archive) 차이점 (0) | 2024.01.06 |
SpringBoot에서 jsp(view) 사용을 위한 의존성 추가 및 설정 방법 (1) | 2024.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