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시험환경

    · node.js

    · pnpm

 

2. 목적

    · pnpm 주요 개념 및 설치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자.

    · pnpm 주요 명령어를 알아보자.

 

3. 적용

    ① pnpm 이란?

        - next.js, react.js 등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이며, 패키지 매니저는 프로젝트의 의존성을 관리하는 도구.

        - pnpm은 npm이나 yarn보다 디스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설치 속도가 빠름.

        -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관리할 때 사용자는 npm, yarn, pnpm 중 원하는 패키지 매니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음.

 

    ② 사용하려는 패키지 매니저에 따라 프로젝트 초기화(Next.js 프로젝트)

        - npm> npx create-next-app@latest
        - yarn> yarn create next-app
        - pnpm> pnpm create next-app

 

    ③ package.json 파일에 정의된 모든 의존성 설치

        - pnpm install

 

    ④ 프로젝트에 새로운 패키지를 추가하고 dependencies에 저장

        - pnpm add [패키지명]

 

    ⑤ 개발용 패키지를 추가하고 devDependencies에 저장

        - pnpm add [패키지명] -D

 

    ⑥ 프로젝트에서 특정 패키지를 제거

        - pnpm rm [패키지명]

 

    ⑦ 모든 패키지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 pnpm up

 

    ⑧ 업데이트가 필요한 패키지 목록

        - pnpm outdated

 

    ⑨ 프로젝트 다운로드 후 pnpm 설치  및 개발환경에서 프로젝트 시작

        - npm install -g pnpm
        - pnpm install
        - pnpm dev

반응형
반응형

1. 시험환경

    · GitHub

    · CommandLine

 

2. 목적

    · GitHub에서 신규 Repository 생성 후 빈 프로젝트에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 GitHub에서 신규 Repository 생성 후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3. 적용

    ① GitHub에서 신규 Repository 생성 후 빈 프로젝트에 연결하는 Command Line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 git  init

        - git  add  README.md

        - git  commit  -m  "initial commit"

        - git  branch  -M  main

        - git  remote  add  origin  [Repository-URL]

        - git  push  -u  origin  main

 

    ② GitHub에서 신규 Repository 생성 후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연결하는 Command Line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 git  remote  add  origin  [Repository-URL]

        - git  branch  -M  main

        - git  push  -u  origin  main

 

반응형
반응형

1. 시험환경

    · Node.js

    · Express

 

2. 목적

    · Node.js 환경에서 Express 서버를 초기화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 API를 호출하여 동작 여부를 확인한다.

 

3. 적용

    ① 새 디렉토리 생성 후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여 package.json을 생성한다.

        - 명령어: npm  init  -y

 

    ②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여 node_modules 디렉토리에 패키지를 다운받고, package.json에 추가한다.

        - 명령어: npm  install  express

 

    ③ 서버 파일을 생성한다.

        - 파일명: server.j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필요한 모듈을 가져옵니다.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 Express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합니다.
const app = express();
 
// 서버가 수신할 포트 번호를 정의합니다.
const port = 3000;
 
// 기본적인 라우트를 설정합니다.
app.get('/', (req, res) => {
  res.send('Hello World!');
});
 
// 서버를 시작하고 특정 포트에서 요청을 수신 대기합니다.
app.listen(port, () => {
  console.log(`Server is running at http://localhost:${port}`);
});
cs

 

    ④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 사용하여 서버를 실행한다.

        - 명령어: node   [server.js]

 

4. 결과

    · Server API를 호출하영 응답 결과를 확인한다.

반응형
반응형

1. 시험환경

    · GitHub

    · 윈도우

 

2. 목적

    · GitHub 계정이 2개 이상인 경우, Local PC의 GitHub 계정 관리 방법을 알아보자.

 

3. 적용

    ① Local PC에 설정된 현재 계정 리스트를 출력한다.

        - 명령어: git config --list

        - user.email : github에 등록된 계정(이메일)

        - user.name : github 사용자 이름

 

    ② Git Commit 식별하는데 사용할 이름을 설정한다.

        - 명령어: git  config  --global  user.name  [userName]

 

    ③ GitHub에 등록된 이메일 주소를 설정한다.

        - 명령어: git  config  --global  user.email [userEmail]

 

    ④ 변경된 계정 정보를 확인한다.

        - 명령어: git config --list

 

4. 결과

    · Git Commit/Add/Push 후 Repository에서 변경된 계정으로 코드가 등록된 것을 확인한다.

 

반응형
반응형

1. 시험환경

    · 윈도우 11 WSL2

    · Ubuntu v22.04

 

2. 목적

    · 윈도우 WSL2 환경에서 리눅스 개발 환경을 설정한다.

    · WSL 관련 주요 명령어를 알아보자.

 

3. 적용

    ① 윈도우 환경에서 WSL2를 설치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Docker Desktop을 설치하면 자동으로 설치된다.

        - 참고 URL : https://docs.docker.com/desktop/setup/install/windows-install/

 

Windows

Get started with Docker for Windows. This guide covers system requirements, where to download, and instructions on how to install and update.

docs.docker.com

 

     Windows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다.

 

     설치 가능한 리눅스 배포판을 아래 명령어를 통해 확인한다.

        - >wsl  --list  --online

 

     현재 설치된 모든 WSL 배포판의 목록과 함께 각각의 상태(State) 및 WSL 버전(VERSION)을 확인한다.

        - > wsl  --list  --verbose

        - NAME : 설치된 리눅스 배포판의 이름

 

    사용하려는 특정 버전의 리눅스 설치를 설치한다.

        - > wsl  --install  -d  [ubuntu-22.04]

 

    ⑥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여 설치한 WSL 배포판으로 진입한다.

        - > wsl  --list  --verbose

        - > wsl  -d  [ubuntu-22.04]

4. 결과

    · WSL은 배포판(Linux OS)을 통해 1차적인 큰 틀의 **격리된 공간(컨테이너)**을 제공한다.

    · 그 공간 내부에서 일반적인 리눅스 개발 방식대로 프로젝트별 폴더를 만들어서 2차적인 환경 격리를 설정한다.

 

반응형
반응형

1. 시험환경

    ˙ 윈도우 11

    ˙ Docker Desktop

    ˙ Docker-Compose (yaml)

    ˙ Docker Image (wodpress, mysql v5.7)

 

2. 목적

    ˙ 윈도우 환경에서 Docker Desktop 사용방법을 알아보자.

    ˙ 도커, 도커컴포즈 기반으로 워드프레스(wordpress) 및 연동 DB(MySQL)를 초기화 설치 방법을 알아보자.

    ˙ 설치한 워드프레스 및 연동 DB(MySQL)의 파일이 마운트된 로컬 드라이브에 정상적으로 저장되었는지 확인한다.

 

3. 적용

    ① 윈도우 운영체제에 도커 데스크탑이 설치 및 "실행된 상태"이어야 한다.

        - 아래 경로에서 회원가입, 로그인 및 도커데스크탑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한다.

        - URL : https://www.docker.com/products/docker-desktop/

 

Docker Desktop: The #1 Containerization Tool for Developers | Docker

Docker Desktop is collaborative containerization software for developers. Get started and download Docker Desktop today on Mac, Windows, or Linux.

www.docker.com

 

    ② 연동 DB(MySQL) 및 워드프레스(wordpress) 설치를 위한 도커 컴포트 파일(yml)을 구성한다.

        - DB와 Wordpress의 데이터를 사용자 PC의 Local 디렉토리로 마운트 설정했다.

        - 아래 양식에서 "<<마운트할 Window 로컬 디렉토리>>" 부분을 마운트할 경로로 대체하여 작성한다.

        - DB 설정 정보 및 Port 마운트 설정 정보도 기억을 해두어야 접속할 수 있다.

wp-mysql.yml
0.00MB

    ③ 도커 컴포즈를 실행한다.

        - docker-compose  -f  [파일명].yml  up

 

    ④ 정상적으로 Container가 Created 되면 도커 데스트탑에서 "Running" 상태인지 확인한다.

       - 설정한 대로 Port 마운트 되었는지 확인한다.

       - 여기서는 MySQL는 3400 포트로 접속하고, wordpress는 8090 포트로 접속하도록 설정 하였다.

 

    ⑤ 워드프레스에 접속하여 초기 설치를 진행한다.

        - http://localhost:8090 (여기서는 Local 접속 8090 포트로 마운트)

 

    ⑥ yml 파일에서 설정한 정보(DB명, 계정, PW)로 MySQL에 접속하여 워드프레스 테이블이 생성되었는지 확인한다.

        - 여기서는 Local 접속 3400 포트로 마운트

 

4. 결과

    ˙ LocalPC Mount 경로에 저장된 DB 데이터

        - 워드프레스에 접속하여 제작 및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이므로 사이트(워드프레스) 백업/복구시 필요하다.

 

    ˙ LocalPC Mount 경로에 저장된 WP 데이터

        - 워드프레스에 접속하여 제작 및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이므로 사이트(워드프레스) 백업/복구시 필요하다.

 

반응형
반응형

1. 시험환경

    ˙ 윈도우 11

    ˙ Docker Desktop

    ˙ Docker-Compose (yaml)

    ˙ Docker Image (wodpress, mariadb v10.5)

 

2. 목적

    ˙ 윈도우 환경에서 Docker Desktop 사용방법을 알아보자.

    ˙ 도커, 도커컴포즈 기반으로 워드프레스(wordpress) 및 연동 DB(MariaDB)를 초기화 설치 방법을 알아보자.

    ˙ 설치한 워드프레스 및 연동 DB(MariaDB)의 파일이 마운트된 로컬 드라이브에 저장되었는지 확인한다.

 

3. 적용

    ① 윈도우 운영체제에 도커 데스크탑이 설치 및 "실행된 상태"이어야 한다.

        - 아래 경로에서 회원가입, 로그인 및 도커데스크탑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한다.

        - URL : https://www.docker.com/products/docker-desktop/

 

Docker Desktop: The #1 Containerization Tool for Developers | Docker

Docker Desktop is collaborative containerization software for developers. Get started and download Docker Desktop today on Mac, Windows, or Linux.

www.docker.com

 

    ② 연동 DB(MariaDB) 및 워드프레스(wordpress) 설치를 위한 도커 컴포트 파일(yml)을 구성한다.

        - DB와 Wordpress의 데이터를 사용자 PC의 Local 디렉토리로 마운트 설정했다.

        - 아래 양식에서 "<<마운트할 Window 로컬 디렉토리>>" 부분을 마운트할 경로로 대체하여 작성한다.

        - DB 설정 정보 및 Port 마운트 설정 정보도 기억을 해두어야 접속할 수 있다.

wp-mariadb.yml
0.00MB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version: "3.9"
   
services:
  wordpress-db:
    image: mariadb:10.5
    volumes:
      - <<마운트할 Window 로컬 디렉토리(mysql)>>:/var/lib/mysql
    restart: always
    environment:
      MYSQL_ROOT_PASSWORD: root1q2w3e
      MYSQL_DATABASE: wp_db
      MYSQL_USER: user
      MYSQL_PASSWORD: user1q2w3e
    ports:
      - "3400:3306"
   
  wordpress:
    depends_on:
      - wordpress-db
    image: wordpress:latest
    volumes:
      - <<마운트할 Window 로컬 디렉토리(wordpress)>>:/var/www/html                                     
    restart: always
    environment:
      WORDPRESS_DB_HOST: wordpress-db:3306
      WORDPRESS_DB_USER: user
      WORDPRESS_DB_PASSWORD: user1q2w3e
      WORDPRESS_DB_NAME: wp_db
    ports:
    - "8090:80"
s

 

    ③ 도커 컴포즈를 실행한다.

        - docker-compose  -f  [파일명].yml  up

 

    ④ 정상적으로 Container가 Created 되면 도커 데스트탑의 Containers에서 "Running" 상태인지 확인한다.

       - 설정한 대로 Port 마운트 되었는지 확인한다.

       - 여기서는 MariaDB는 3400 포트로 접속하고, wordpress는 8090 포트로 접속하도록 설정 하였다.

 

    ⑤ 워드프레스에 접속하여 초기 설치를 진행한다.

        - http://localhost:8090 (여기서는 Local 접속 8090 포트로 마운트)

 

    ⑥ yml 파일에서 설정한 정보(DB명, 계정, PW)로 MySQL에 접속하여 워드프레스 테이블이 생성되었는지 확인한다.

        - 여기서는 Local 접속 3400 포트로 마운트

 

 

4. 결과

    ˙ LocalPC Mount 경로에 저장된 DB 데이터

        - 워드프레스에 접속하여 제작 및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이므로 사이트(워드프레스) 백업/복구시 필요하다.

 

    ˙ LocalPC Mount 경로에 저장된 WP 데이터

        - 워드프레스에 접속하여 제작 및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이므로 사이트(워드프레스) 백업/복구시 필요하다.

반응형
반응형

1. 시험환경

    · conda 25.5.1

    · Visual Studio Code

 

2. 목적

    · Conda 환경에서 신규 프로젝트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 가상환경 활성화/비활성화 방법을 알아보자.

 

3. 적용

    ① Conda를 사용하려면 먼저 Anaconda 또는 Miniconda를 설치해야 한다.

        - Anaconda : 데이터 과학에 필요한 대부분의 패키지(numpy, pandas, matplotlib 등)가 설치된 풀 버전

        - Miniconda : 핵심 패키지만 포함된 경량 버전

 

    ② 터미널에서 설치 버전을 확인한다.

        - > conda --version

 

    ③ 설치된 모든 환경 목록을 확인한다. 설치 직후이므로 base 환경만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 conda env list

        - > conda info --envs

 


 

    ④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마다 해당 프로젝트만을 위한 독립적인 환경을 만들어서 관리한다.

        - > conda  create  --name  [my_project_env]  python=[3.11]

 

    ⑤ 프로젝트의 독립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가상환경을 활성화하면 프롬프트 앞에 가상환경 이름이 표기된다.

        - > conda  activate  [my_project_env]

 

    ⑥ 가상환경을 비활성화 하면 프롬프트 앞에 가상환경 이름이 없어진다.

        - > conda  deactivate

 

4. 결과

    · 설치된 환경 목록을 확인하면 신규 생성한 가상환경 프로젝트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가상환경 프로젝트가 생성될 때마다 anaconda 설치된 디렉토리의 envs 하위 폴더에 추가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