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시험환경

    ˙ 윈도우

    ˙ Oracle VM VirtualBox

 

2. 목적

    ˙ Virtual Box에 운영체제 설치 후 최초 실행 시 화면이 작게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한다.

    ˙ 모니터 전체 화면으로 확대하기 위한 Plugin을 설치한다.

 

3. 적용

    ① Virtual Box에 윈도우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최초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작은 화면으로 표시된다.

Virtual Box를 통해 실행된 윈도우 화면 (전체 모니터 크기 대비 작은 화면)

 

    ② Virtual Box 메뉴에서 <장치> → <게스트 확장 CD 이미지 삽입...> 메뉴를 클릭한다.

확장 플러그인 이미지 삽입

 

    ③ Virtual Box 메뉴에서 "장치" → "게스트 확장 CD 이미지 삽입..." 메뉴를 클릭한다.

CD 드라이브에서 설치파일을 실행한다.

 

    ④ 설치한다.

설치
설치
설치
설치
설치
 

 

4. 결과

    ˙ 설치 후 Virtual Box를 재시작하면 모니터 전체 화면으로 확대된다.

    ˙ 확대 적용이 되지 않은 경우, <보기>  → <게스트 디스플레이 크기 자동 조절> 메뉴를 클릭한다.

전체 화면

 

반응형
반응형

1. 시험환경

    ˙ Ubuntu(우분투) Linux(리눅스)

    ˙ ssh-keygen

 

2. 목적

    ˙ ssh-keygen 명령어를 통하여 public 및 private key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3. 적용

    ① 우분투 환경에서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여 private 및 public key를 생성한다.

        - $ ssh-keygen -q -t rsa -N '' -m PEM -t rsa -b 4096 -C test -f ./id_rsa <<<y >/dev/null 2>&1

 

4. 결과

    ˙ 공개키(.pub)는 github 등 접속을 위한 서버에 등록하여 사용한다.

    ˙ 비밀키(private)는 접속 클라이언트에 등록하여 사용한다.

 

반응형
반응형

1. 시험환경

    ˙ Ubuntu

    ˙ Docker

 

2. 목적

    ˙ 일반 사용자에게 Docker 실행권한을 부여한다.

 

3. 적용

    ① docker 실행 후 build 명령어를 실행을 시도하면, 일반 계정은 권한이 막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명령어 : $ docker build .

1
2
3
4
Got permission denied while trying to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socket at unix:///var/run/docker.sock:
Post "http://%2Fvar%2Frun%2Fdocker.sock/v1.24/build?buildargs=%7B%7D&cachefrom=%5B%5D&cgroupparent=&cpuperiod=0&cpuquota=0&cpusetcpus=&cpusetmems=&cpushares=
0&dockerfile=Dockerfile&labels=%7B%7D&memory=0&memswap=0&networkmode=default&rm=1&shmsize=0&target=&ulimits=null&version=1":
dial unix /var/run/docker.sock: connect: permission denied
cs

 

    ② 현재 로그인한 계정($USER)을 docker group에 포함시킨다.

        - 명령어 : $ sudo usermod -a -G docker $USER

 

    ③ 시스템 재기동 후 해당 ID에 docker group 권한이 부여되었음을 확인한다.

        - 명령어 : $ id

 

4. 결과

    ˙ 접속 계정으로 docker build 명령어가 동작됨을 확인한다.

        - 명령어 : $ docker build .

반응형
반응형

1. 시험환경

    ˙ 우분투(ubuntu)

    ˙ crontab

 

2. 목적

    ˙ 리눅스 부팅 또는 재부팅 후 특정 스크립트 파일을 자동실행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 crontab 설치 및 설정 명령어를 알아보자.

 

3. 적용

    ① 우분투(ubuntu) 환경에서 cron을 설치한다.

        - 명령어 : $ sudo apt update -y

        - 명령어 :sudo apt install -y cron

 

    ② cron 서비스를 시작한다.

        - 명령어 :sudo service cron start

 

    ③ cron systemctl을 활성화한다.

        - 명령어 :sudo systemctl enable cron.service

 

    ④ cron systemctl 등록 및 서비스 상태를 확인한다.

        - 명령어 :sudo systemctl list-unit-files | grep cron

        - 명령어 :sudo service cron status

 

    ⑤ 시스템 기동 후 자동 실행할 스크립트 파일을 설정한다.

        - 명령어 :crontab -e

           @reboot  [/home/ubuntu/startup.sh]

 

    ⑥ cron 설정 정보를 확인한다.

        - 명령어 :crontab -l

 

4. 결과

    ˙ 시스템을 재부팅하여 설정한 스크립트가 자동 실행되는지 확인한다.

반응형
반응형

1. 시험환경

    ˙ 우분투(Ubuntu) v.22.04

    ˙ GitHub

    ˙ ssh-keygen

 

2. 목적

    ˙ 우분투(ubuntu) 리눅스 환경에서 공개키-비밀키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 생성된 공용키(public-key)를 GitHub의 특정 Repository에 등록한다.

 

3. 적용

    ① key를 생성할 폴더에서 ssh-keygen 명령어를 이용하여 비밀키-공개키를 생성한다.

        - $ ssh-keygen  -t  ed25519  -a  100  -f  [SSH Key명]

 

    ② "Github의 특정 Repository" → "Settings" 메뉴를 클릭한다.

 

    ③ "Deploy keys" 메뉴 클릭 → "Add deploy key" 버튼을 클릭한다.

 

    ④ ①번 절차에서 생성한 2개의 파일 중 공개키(.pub 확장자)의 내용을 붙여넣는다.

 

 

4. 결과

    ˙ 배포 서버 등과 같은 공용 서버는 특정 사용자로 로그인 해두기 곤란하기 때문에

    ˙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접근할 repository에 Host 서버를 보안키 기반으로 인증해 두면

    ˙ 별도로 로그인 하지 않고 ssh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1. 시험환경

    ˙ 윈도우 10

 

2. 목적

    ˙ diskpart 유틸리티를 이용하여 파티션을 삭제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 윈도우 "디스크 관리" 서비스를 통해서 병합할 수 없는 파티션 병합법을 학습한다.

 

3. 적용

    ① 윈도우 "디스크 관리"를 실행하면 D드라이브가 2개의 파티션으로 나누어져 있다.

        - 디스크 병합을 시도하면, "복구 파티션(할당되지 않음)"은 주 파티션과 병합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나타난다.

복구 파티션(할당되지 않음)

 

    ② 파티션을 삭제하기 위해 cmd 창에서 "diskpart" 명령어를 실행한다.

diskpart

 

    ③ 명령어를 차례대로 실행하여 결국 삭제하기 위한 파티션을 선택한다.

        - list disk : disk 목록 출력

        - select disk [디스크 No] : disk 선택

        - list partition : 선택한 disk의 파티션 목록 출력

        - select partition [파티션 No] : 파티션 선택

삭제 대상 파티션 선택

 

    ④ 선택한 파티션을 삭제한다.

        - delete partition override

선택 파티션 삭제

 

4. 결과

    ˙ "디스크 관리" 서비스에서 파티션이 합쳐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내용이 도움 되셨다면 광고 클릭 한번 부탁드립니다 ※

반응형
반응형

1. 시험환경

    ˙ putty

    ˙ mobaxterm

 

2. 목적

    ˙ SSH Agent Key Forwarding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 putty와 mobaxterm에서 SSH Agent Key Forwarding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3. 적용

    ① SSH Agent Key Forwarding이 필요한 이유

        - 예를 들어 “원격 서버”에 연결한 상태에서 Github에 저장하고 있는 일부 코드를 git pull 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Github

        에 SSH 인증이 필요하다. 하지만, 보통의 경우 private SSH Key가 접속한 “원격 서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Local

        PC”에 존재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SSH Agent Forwarding을 해야만 “원격 서버”를 통해 Github SSH 인증이 가능하다.

 

    ② putty에서 SSH Key Forwarding 설정

        - 참고: https://www.howtogeek.com/devops/what-is-ssh-agent-forwarding-and-how-do-you-use-it/

 

    ③ mobaxterm에서 SSH Key Forwarding 설정

        - 참고: https://docs.gcc.rug.nl/hyperchicken/ssh-agent-forwarding-mobaxterm/

 

 

※ 내용이 도움 되셨다면 광고 클릭 한번 부탁드립니다 ※

반응형
반응형

1. 시험환경

    ˙ 윈도우 10

 

2. 목적

    ˙ 윈도우10에서 특정 폴더를 공유하기 위해 설정한다.

    ˙ 동일 네트워크(LAN)에 연결된 모든 PC에서 공유 폴더를 사용할 수 있다.

 

3. 적용

    ① 공유 대상 폴더에서 "우클릭" → 팝업창 → <속성> 클릭한다.

 

    ② 속성창에서 "공유" 버튼을 클릭한다.

 

    ③ 해당 폴더를 "공유할 사람"을 추가하고, "권한"을 설정한다.

        - Everyone : 모든 사람에게 공유

 

    ④ 폴더 공유 설정이 완료되었다.

        - 공유할 대상 폴더에 대한 설정은 완료되었지만, 추가적인 네트워크 설정이 필요하다.

 


 

    ⑤ 윈도우 홈에서 "고급 공유 설정"을 검색하여 "고급 공유 설정 관리" 메뉴를 클릭한다.

 

    ⑥ <개인> 탭에서 "파일 및 프린터 고유 켜기" 항목을 선택한다.

 

    ⑦ <모든 네트워크> 탭에서 "암호 보호 공유 끄기" 항목을 선택한다.

        - 공유 대상 폴더에 접속 가능한 사용자가 별도의 암호 없이 접근할 수 있다.

 

4. 결과

    ˙ 동일 네트워크의 다른 PC에서 공유 폴더에 접속한다.

        - 탐색기 등에서 "IP주소" 입력

 

 

※ 내용이 도움 되셨다면 광고 클릭 한번 부탁드립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