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시험환경

    · PowerShell

    · vsCode

    · Cursor AI

 

2. 목적

    · vsCode 또는 Cursor AI의 Terminal에서 스크립트 명령어 실행 제한을 해제한다.

 

3. 적용

    ① vsCode 또는 cursor AI와 같은 IDE를 사용할 경우, npm 및 yarn 등 패키지 명령어 실행 시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가 있다.

yarn start
yarn : 이 시스템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없으므로 C:\Users\USER\AppData\Roaming\npm\yarn.ps1 파일을 로드할 수 없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about_Execution_Policies(htt
ps://go.microsoft.com/fwlink/?LinkID=135170)를 참조하십시오.
위치 줄:1 문자:1
+ yarn start
+ ~~~~
    + CategoryInfo          : 보안 오류: (:) [], PSSecurityException
    + FullyQualifiedErrorId : UnauthorizedAccess

 

    ② Windows PowerShell을 Open한다.

 

    ③ 현재 Command Line 실행 정책을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확인한다.

        - > Get-ExecutionPolicy -List

 

    ④ 스크립트 실행 제한을 조정하기 위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 > Set-ExecutionPolicy RemoteSigned -Scope CurrentUser

 

    ⑤ 스크립트 실행 경고나 확인 메시지 없이 실행할 수 있도록 정책을 조정한다.

        - > Set-ExecutionPolicy Bypass -Scope CurrentUser

 

    ⑥ 변경된 스크립트 실행 정책을 확인한다.

        - > Get-ExecutionPolicy -List

 

4. 결과

    · vsCode 또는 cursor 등 IDE의 Terminal에서 명령어 실행이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1. 시험환경

    · 윈도우

    · node v20.18.1

    · yarn v1.22.22

 

2. 목적

    · yarn 패키지 생성관리 툴을 이용하여 next.js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3. 적용

    ① 프로젝트 폴더를 생성 후 생성한 폴더로 이동한다.

        - 예시) nextjs 폴더를 생성한다.

 

    ② 생성한 프로젝트 폴더 내에서 신규 프로젝트 생성 명령어를 입력한다.

        - yarn  create next-app  --typescript  .

 

    ③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선택하면 설치가 진행된다.

라이브러리 선택

 

프로젝트 초기화

 

    ④ next.js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초기화된 프로젝트 구조가 생성된 것을 확인한다.

 

4. 결과

    ① 설치한 프로젝트를 개발환경에서 실행한다.

        - yarn  dev

 

    ② 프로덕션 환경에 배포하기 위해 빌드하면 빌드 결과는 .next 폴더에 저장된다.

        - yarn  dev

 

    ③ 빌드된 Next.js 애플리케이션을 프로덕션 모드로 실행한다.

        - 이 명령을 실행하기 전에 yarn build 명령어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해야 한다.

        - yarn  start

 

반응형
반응형

1. 시험환경

    · node.js v22, v20, v18

    · npm

    · create-react-app

    · 윈도우

 

2. 목적

    · 리액트 프로젝트 생성(npm create-react-app) 중 발생하는 에러를 해결한다.

    ·  react@19.0.0과 @testing-library/react@13.4.0 간 버전 충돌 회피 방법을 알아보자.

 

3. 적용

    ① npm 명령어를 이용하여 react 프로젝트 생성시 버전 충돌관련 에러가 발생한다.

        - 명령어 : npm  create-react-app  [my-app]   --template  typescrip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pm error code ERESOLVE
npm error ERESOLVE unable to resolve dependency tree
npm error
npm error While resolving: notifyapp@0.1.0
npm error Found: react@19.0.0
npm error node_modules/react
npm error   react@"^19.0.0" from the root project
npm error
npm error Could not resolve dependency:
npm error peer react@"^18.0.0" from @testing-library/react@13.4.0
npm error node_modules/@testing-library/react
npm error   @testing-library/react@"^13.0.0" from the root project
npm error
npm error Fix the upstream dependency conflict, or retry
npm error this command with --force or --legacy-peer-deps
npm error to accept an incorrect (and potentially broken) dependency resolution.
npm error
npm error
cs

 

    ② 에러의 원인은 create-react-app에서 react 버전이 v19로 설정되지만,  @testing-library는 v18를 요구한다.

        - node.js 버전과 상관없이 발생한다. (node v22, node v20, node v18)


 

    ③ 해결책) 패키지간 버전 관리가 불안정한 npm을 사용하는 대신 yarn을 이용하여 React 프로젝트를 생성하자.

        - 명령어 : yarn  create  react-app  [my-app]  --template  typescript

        - yarn으로 프로젝트 생성 시 패키지 간 버전 호환성에 맞게 설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결과

    · 실행결과를 확인한다.

        - 명령어: yarn  start

 

반응형
반응형

1. 시험환경

    ˙ Node.js 20.11.1 LTS

    ˙ 윈도우

 

2. 목적

    ˙ node.js를 윈도우 환경에서 설치한다.

    ˙ node.js를 설치 시, 자동설치 되는 npm을 확인한다.

 

3. 적용

    ① node JS 공식 웹사이트에서 설치 파일을 다운 받는다.

        - URL : http://nodejs.org 

 

Node.js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nodejs.org

 

 

    ②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LTS("안정화 버전")을 다운로드 받는다.

        - 2024년 3월 기준 안정화 버전은 20.11.1 LTS이다.

        - Release Schedule을 확인하여 지원종료가 되는 버전은 피하자.

 

 

    ③ 다운 받은 파일을 확인하고 실행한다.

 

    ④ Next 버튼을 클릭하며 설치 절차를 진행한다.

설치과정 5
설치과정 6
설치과정 7
설치과정 8

 

4. 결과

    ˙ npm -v 명령어를 실행하여 설치 버전을 확인한다.

    ˙ node -v 명령어를 실행하여 설치 버전을 확인한다.

 

반응형
반응형

1. 시험환경

    ˙ react.js

    ˙ npm

 

2. 목적

    ˙ 사용자가 http로 웹 서비스 요청시 https로 redirection 하여 서비스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3. 적용

    ① react-https-redirect 패키지를 설치한다.

        - 명령어 : npm install --save react-https-redirect

 

    ② src/index.js에서 HttpRedirect 컴포넌트를 추가하고 <App/>을 감싸준다.

 

4. 결과

    ˙ 서비스 도메인으로 http 요청시 https로 전환(redirection)하여 서비스 하는 것을 확인한다.

반응형
반응형

    ① react.js 프로젝트 기동 시 콘솔로그<F12>에서 WebSocket Connection failed 메시지가 나타난다.

1
2
WebSocket
connection to 'ws://[url]/ws' failed:
cs

 

    ② 프로젝트 최상위 폴더의 .env 파일에서 WDS_SOCKET_PORT=0 설정

        - 원인 : cra에서 기본 포트를 3000포트로 설정해서 ws와 충돌 발생

 

반응형
반응형

1. 시험환경

    ˙ react.js

    ˙ npm

 

2. 목적

    ˙ npm 빌드 및 배포 후 웹에 접속하면, 서비스 화면 없이 "Invalid Host Header"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자.

 

3. 적용

    ① disableFirewall 변수를 "기존 조건부"를 주석처리하고 "true"로 할당한다.

        - $ vi node_modules/react-scripts/config/webpackDevServer.config.js

1
2
3
module.exports = function (proxy, allowedHost) {
  const disableFirewall = true;
//          !proxy || process.env.DANGEROUSLY_DISABLE_HOST_CHECK === 'true';
cs

 

반응형
반응형

1. 시험환경

    ˙ npm

    ˙ vue cli

 

2. 목적

    ˙ vue cli를 통해서 프로젝트 초기 설정하는 방법을 확인한다.

    ˙ 생성된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초기화면을 접속한다.

 

3. 적용

    ① vue cli 설치

        - 명령어 : npm install -g @vue/cli

 

    ② 프로젝트 생성하기 (프로젝트 폴더 생성한 곳에서 실행)

        - 명령어 : vue create .

 

     프로젝트를 실행한다.

        - 명령어 : npm run serve

 

    추가 플러그인 설치

        - npm install 명령어 : npm install vue-router --save

        - vue add 명령어 : vue add axios

 

 

4. 결과

    ˙ 초기화면 접속

 

반응형

+ Recent posts